티스토리 뷰
37개월 부터 60개월 언어 늦음. 발음 부정확. 어눌한 발음. 말이 늦는아이. 의사소통 3살 4살 5살
버미데디 2020. 4. 29. 19:56또래에 비해 말이 늦어 불안하고 발음이 부정확해서 알아듣기힘들때
언어치료가 필요한 걸까요?!
No!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버미데디입니다. 오늘은 [생후 37개월 부터 60개월 사이에 있는 아이들의 언어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고민]에 대해 알아보려고해요.^^
이전에 보다 자세히 다룬 내용(발달검사/놀이 등)을 참고하고 싶다면 [카테고리]란에 [발달검사] 페이지로 가셔서 해당되시는 개월수를 살펴보시길 바랄께요.ㅎㅎ
2020/04/02 - [아기 발달 검사 baby developmental test] - [37개월 부터 60개월] 운동발달 언어발달 복합놀이 총 정리! 3살 5살
2020/04/03 - [아기 발달 검사 baby developmental test] - [37개월 부터 60개월] 언어이해 언어발달 복합놀이 총 정리! 3살 5살
아이가 만 3세가 되면서 서서히 자신의 의도를 단어와 문장으로 표현합니다. 간단히 가족명칭에서부터 "안해", "싫어", "이리와", "밥먹어" 등을 표현하며 왠만한 대화도 가능한 수준으로 올라오죠.^^
하지만 만 3세를 지나 4세, 5세가 되어도 문장구성력이 떨어지고 발음이 어눌하며 더듬고 두서가 안맞다면 부모님들께서는 점점 초조해질 수 밖에 없는데요.ㅠ
아이가 언어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시기 전에 몇 가지 알아두셔야 할 부분이 있어요.ㅎㅎ
"과연 정말 내 아이의 언어능력은 낮은걸까?"
라는거예요.
"엥?? 말을 못하는건 언어능력이랑 관련이 있는거 아닌가요??"
꼭 그런건 아닙니다.^^; 언어능력은 즉, 언어이해능력을 말하는데요. 보통 말이 늦고 표현력이 떨어진다고 해서 무조건 언어이해능력이 낮다고 평가하지는 않기 때문이예요. 물론, 정말 언어이해력이 떨어져서 늦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꼼꼼히 객관적으로 따져보신 뒤에 결정하시면 시간과 돈, 노력 전부 아끼실 수 있어요.ㅎㅎ
가장 흔한 고민들 중에는
"40개월인데 말이 너무 늦어요."
"37개월인데 발음을 알아들을 수 없어요."
"42개월인데 말을 더듬고 의사소통 자체가 힘들어요."
같은 고민들이지 않을까싶어요.ㅠ 맞아요, 확실히 이때 뭔가 잡아주지못하면 계속 뒤쳐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들고 이미 기다릴 만큼 기다려보아도 딱히 보이는 진전이 없어서 초조한것이겠지요. ㅠ 이해합니다.
하지만, 한가지 중요한 사실을 말씀드리자면 아이가 질문에 대한 의도를 이해하고 있다면 언어표현에 대한 불안감은 어느정도 내려놓으셔도 된다는게 전문가분들의 의견이예요.^^ 혹여나 조금 언어이해력이 부족하다고 할지라도 보통 또래 언어수준의 80%정도만 된다면 정상범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답니다. 그 이후에는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시어 일대일 인지치료와 언어치료를 병행해주시는게 좋아요.
"일대일 언어치료라면 방문교사 프로그램을 말하는 건가요?"
예. 맞아요.^^ 그게 조금 부담스러우시면 서점에 언어이해력을 학습시킬 수 있는 교재를 따로 구입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해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보내면 무조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반은 맞고 반은 그렇지않을 수 있어요.ㅎㅎ;; 만약 아이가 어린이집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는 질적운동성 및 비언어인지능력, 사교력 등을 가지고 있다면 비록 언어표현에 조금 뒤쳐짐이 있더라도 보내보시는게 좋다고해요.^^ 아이들끼리는 서로 눈치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고 그러다보면 자연스럽게 말을 밷으며 배워가거든요. 간혹 자녀의 언어표현방식을 놀리는 아이가 유치원에 있다고하면 해당 유치원 담당선생님을 만나서 상담을 받아, 자녀분이 놀림받지 않고 서로 어울릴 수 있게 중재해주길 부탁해보시면 될 것 같아요.ㅎㅎ
반면에 운동성이 떨어지면서 말이 늦게 트이는 자녀분인 경우는 오히려 유치원 내에서 활동적으로 아이들 사이에 끼지 못해서 난처해하거나 불안해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따로 일대일 운동활동과 학습활동을 병행하셔서 만 5세 이전까지 아이가 스스로 자신감을 찾게 하고 운동성과 언어표현력이 또래에 비슷한 수준까지 도달했다면 그때 다시 합류하셔도 늦지않아요.^^ 참고로 운동발달과 말트임은 어느정도 비례관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말이 좀 늦으면 아이의 운동발달능력을 확인해보시는게 좋아요.
그렇다면 이 시기 조기영어에 관심을 가지시는 부모님들도 계시겠죠? 일찍이 아이에게 한국어와 영어를 동시에 노출시키면 아이가 보다 빨리 습득하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는법을 배울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그게 옳다? 옳지않다? 를 논하기 앞서서 아이의 언어이해력이 정상 수준인가를 아시고 결정하시는게 좋다고 해요. 정상 수준이라면 한국어와 영어 동시에 노출이되어도 아이는 크게 혼란스러워하지 않아요. 단, 언어이해력이 부족한 상황이라면 한글부터 공부를 시키시고 나중에 영어를 가르치시는게 좋습니다.
참고로 영어는 우리말에 비해 언어발성이 다르고 말에 높낮이가 뚜렷해서 아이들의 입장에서는 더 재밌고 쉽게 들린다고해요.ㅎㅎ때문에 한국말 표현보다는 영어표현을 더 선호할 수 있어요. 즉, 질문은 한국어로 알아들었지만 표현은 영어로 할 수 있다는거죠.^^;
핵심은 내 아이의 언어 이해력 평가를 확인하신 뒤에 일대일 언어치료를 할것인지, 전문가를 통한 발달평가를 받을 것인지, 아니면 여유를 가지고 언어표현법과 다른 운동능력을 기를 계획을 만드실건지 결정하시면 될 것 같아요.^^
다음 포스팅으로 [생후 17개월에서 24개월 운동능력과 언어 및 감정조절에 관한 일반적인 궁금증]에 대해 적어보도록 할께요.^^
'0세부터 4세까지 육아꿀팁 > 육아고민 걱정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개월 부터 24개월 말을 못해요. 언어발달 늦음. 문장으로 말을 못해요. 알아듣지 못함. 단어 표현 부족. 말하기 능력. (0) | 2020.05.03 |
---|---|
17개월 부터 24개월 못 걷는 아이. 자꾸 넘어짐. 운동발달이 늦음. 체력이 약한 아이. 성장에 대한 고민 (2) | 2020.05.01 |
25개월 부터 36개월 발달장애 조기 진단. 자폐증 애착장애 언어장애 원인 증상. (2) | 2020.04.26 |
25개월 부터 36개월 발달 늦음 장애 검사. 엄마 아빠 어린이집 기피 현상 표현력 이해력 (0) | 2020.04.25 |
25개월 부터 36개월 말을 못해요. 말을 안해요. 단어 언어 능력 수준 (0) | 2020.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