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살 아이가 떼를 쓸 때는 다 이유가 있다는데, 그럼에도 왜 나는 아이에게 화를 낸걸까. 화를 내고나서 내 마음이 더 무거워지고 미워지는 이유는 왜일까. 이제 범이가 3살이 되었으니 자신의 의사표현을 제법하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저 역시 30대 중반을 넘어 후반으로 가는 나이다보니 조급함이나 성급함보다는 점점 여유를 갖는 습관을 키우게 되는것 같네요. 평소 아이의 말을 10번에 9번은 들어주는 편이니 아이가 크게 투정을 부리거나 떼를 쓰는일이 없으나 나도모르게, 욕심에 아이에게 무언가를 강요하는 일이 생기곤합니다. ㅎㅎ 1. 밥먹일때 2. 옷입힐때 3. 씻길때 4. 좋아하는것을 방해할때 5. 배고프거나 졸릴때 아마 3살이나 4살쯤 육아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이제는 배고프거나 졸린건 본인들이..

내 아이가 틈만 나면 엄마나 아빠를 찾고 조금만 떨어져 있거나 보이지 않았을때 매우 불안해한다면 분리불안을 떠올리기 쉽다. 어떻게 하면 현명하게 이 시기를 넘어갈 수 있을까? 3가지 방법으로 대안을 찾아보세요. 안녕하세요 버미데디입니다. 오늘은 불리불안에 대해서 적어보려고해요. 아이가 첫돌이전까지 부모와의 애착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유는 그 후에 아이에게서 보이는 몇가지 특징때문인데요. 간혹, 엄마나 아빠의 부재로 아이가 심하게 떼를 쓰거나 울거나 심하게 두려워하는 경우 부모입장에서는 걱정이 될 수 밖에없습니다. 더욱이 맞벌이로 바쁜 부부시라면 더더욱 이러한 상황이 곤란할 수 있는데요. 아이는 왜 불안해하는걸까요? 환경을 바꿔보세요. 1. 낯선환경에 적응이 필요한 아이 - 아이의 기질을 아는 것은 매..

아이가 3살이 되고나면 감정이 풍부해지고 소통하는 능력이 생깁니다. 정서발달에 도움이 되는 애완동물 '물고기' 를 키워보자. 안녕하세요 버미데디입니다. 사회능력이 부쩍자라나는 만 3세부터는 아이가 스스로 노는 시간보다 소통하려는 시간이 많아집니다. 그것이 육체적이든 언어적이든 아이는 감정적 교류를 원하고 또 필요로합니다. 저희 범이도 3살이 지나고 나서는 무엇이든 함께하고 말을하려합니다. 그래서 조금씩 소통이 이뤄지는데요. 자신이 보고 듣는것들을 그대로 장난감이나 다른사물에 이입시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종종 보게되었습니다. 2020.11.11 - [0세부터 4세까지 육아꿀팁/육아고민 걱정 궁금증] - 1살 부터 3살. 떼부림 고집 말안 듣는 아이 급처방 훈육 3단계 1살 부터 3살. 떼부림 고집 말안 ..